대한민국 공식정부 누리집 이미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ODA 참여광장

ODA 참여광장

자주하는 질문

자주하는 질문

    • Q

      KOICA에서 실시하는 연수생 초청사업이란?

      A

      KOICA는 연수사업 ‘씨앗(CIAT)’을 통해 개발도상국의 경제사회발전을 이끌어갈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개도국 공무원, 기술자, 연구원, 정책결정자 등을 대상으로 국가대표 인적자원개발(HRD) 사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2023.11.14

    • Q

      ODA 증여등가액이란?

      A

      2018년부터 도입된 ODA 측정방식으로, 지원조건(이자율, 거치 기간, 만기)을 재무적으로 평가하여 무상으로 지원되는 비중을 계산한 것입니다. 무상원조의 경우 증여율이 100%이므로 집행액 전액이 증여등가액으로 반영되는 반면, 유상원조의 경우 차관 지원액과 차관 원리금 현재가치의 차이로 증여율을 계산하여 증여율과 집행액을 곱한 금액을 증여등가액 기준 실적으로 인정합니다.

      2023.11.14

    • Q

      국내 기업 ODA 사업 입찰 현황은?

      A

      2022년 기준 국내 기업 ODA 사업 입찰은 267건입니다. 그중 대기업 9건, 중소기업 172건, 비영리기관* 67건, 중견기업 11건, 그리고 공공기관은 8건입니다.
      * 학교법인, 병원법인, 사단법인, 재단법인, 사회복지법인 등

      2023.11.14

    • Q

      OECD DAC 회원국의 PBA(프로그램형) 원조란?

      A

      - PBA(Programme-based Approach) 원조란, 국가빈곤감소전략·특정 분야별 프로그램·주제별 프로그램·특정 기관의 프로그램을 포함한 현지 주도의 개발프로그램에 대한 조율된 지원을 원칙으로 하는 개발협력에 참여하는 방법입니다.
      - 즉, 수원국의 주인의식에 입각한 개발 프로그램과 이에 대한 공여국의 지원을 아우르는 유기적인 관계 혹은 방식입니다.

      2023.11.14

    • Q

      UN 정규분담금의 정의 및 산정 기준은?

      A

      - UN정규분담금이란, 각국의 GNP 및 GNI 등을 감안하여 선정된 분담률(scale of assessments)에 따라 납부하는 분담금으로 UN 정규예산 분담금 및 PKO(평화유지활동) 분담금을 포함합니다.
      - 각국 분담률 산정기준으로서 국민소득(GNI)의 통계기준년도는 4.5년으로, (과거 6년 평균 GNI + 과거 3년 평균 GNI)/2입니다.
      - 또한 외채가 많은 국가에 대해서는 외채부담을 감안하여 분담률 산정기준이 되는 연간 국민소득을 외채 상환액만큼 축소 조정합니다.

      2023.11.14

    • Q

      최저개발국, 하위 중소득국, 상위 중소득국의 분류 기준은?

      A

      - 최저개발국(Least Developed Countries, LDCs) 또는 최빈국이란, 900불 미만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을 비롯해 중등교육 수준, 성인 문맹률, 평균수명, 칼로리 섭취량, 경제구조의 취약성 등을 기준으로 지정되는 국가입니다.
      - 또한 하위 중소득국(Lower Middle Income Countries and Territories, LMIC)의 기준은 $1,046≤1인당 GNI≤$4,095이며, 상위 중소득국(Upper Middle Income Countries and Territories, UMIC)의 기준은 $4,096≤1인당 GNI≤$12,695입니다.

      2023.11.14

    • Q

      ODA 수원국이 될 자격 기준은?

      A

      OECDDAC(개발원조위원회)가 3년마다 발표하는 수원국 리스트에는 ODA를 받을 자격이 있는 모든 국가와 지역이 표시됩니다. 세계 은행(World Bank)이 발표한 1인당 국민 총소득(GNI)을 기준으로 저소득 및 중간소득국가*로 분류된 국가들과 더불어 UN에서 정의한 최저개발국이 포함됩니다.
      * 저소득국가: LICs(Low Income Countries), LMICs(Low Middle Income Countries).
      중간소득국가: MICs(Middle Income Countries, UMICs(Upper Middle Income Countries)

      2023.11.14

    • Q

      우리나라 ODA 총규모는?

      A

      - 정부가 발표한 ODA 종합시행계획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총규모는 4조 7,771억원입니다. 전년대비 21.3% 증가하였으며, 45개 시행기관이 92개 수원국에서 1,840개 시행사업을 추진 중입니다.
      - 더불어 2024년 ODA 요구액 총규모는 6조 8,421억원이며 총 47개 기관, 1,978개 사업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총규모는 전년대비 약 2조원 증가하였고 참여기관은 2개, 사업은 138개 증가하였습니다.

      2023.11.14

    • Q

      OECD 동료 검토(Peer Review)란?

      A

      OECD DAC(개발원조위원회) 동료 검토(Peer Review)란 회원국의 ODA 정책과 집행에 대한 주기적(5-6년 단위) 평가로서, DAC가 검토 후 권고사항을 포함하여 발간한 최종보고서입니다. 권고사항 자체에는 구속력이 없으나, 회원국은 이를 존중하여 자발적으로 이행하며 ODA 정책 개선을 위한 계기로 활용 중입니다. 우리나라는 권고사항과 관련하여 이행계획을 수립하며 국제개발위원회에 상정 및 의결하여 이행점검을 실시합니다.

      2023.10.13

    • Q

      PPP(민관협력파트너십) 사업이란 무엇이며 대표 사례는?

      A

      - PPP(Public Private Partnership, 민관협력파트너십) 사업이란 과거 정부의 역할에 속했던 항만, 도로, 환경시설 등 사회간접자본 건설 및 운영에 민간기업이 참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히 ODA에 있어서 PPP는 정부의 개발목표에 부합하는 기업 등 민간 부문의 저개발국 개발원조 활동에 대한 지원을 말합니다.

      - 대표 사례로는 2010년 KT가 수행한 우즈베키스탄의 IT 교육과 르완다의 초등학교 건립 사업, 몽골 국제개발교육센터 및 농축산시범농장 건립사업, 카자흐스탄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청정식수 공급 및 녹색마을 조성 사업 등이 있습니다.

      2023.10.13

만족도조사해당 메뉴에 대한 만족도를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