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위한 나눔,
함께하는 대한민국
국가협력전략(CPS)
국가협력전략(Country Partnership Strategy) 개요
국가협력전략(CPS)은 개별 중점협력국에 대한 지원 목표, 중점협력분야 및 지원 계획 등을 담은 중장기 ODA 지원 전략입니다. 우리 정부는 수원국과 긴밀히 소통하는 가운데 국가협력전략을 수립함으로써, 양국간 중장기 개발협력의 방향을 제시하고 ODA의 효과성 제고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한편 우리 정부는 수원국 국가발전전략과 우리 국가협력전략의 적용 주기를 일치시킴으로써 지원의 일관성 및 효과성을 제고해나가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ODA 중점협력국은 27개국으로 아시아 12개국, 아프리카 7개국, 중남미 4개국, 중앙아시아 4개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당 국가들에 대해 모두 CPS가 수립되어 있습니다.
중점협력국 제도
우리 정부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ODA 지원효과를 제고하고자 5년마다 ODA 중점협력국을 지정·운영해오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중점협력국 대상 양자 ODA 재원의 70% 이상 집중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중점협력국들과 협력을 강화해나가고 있으며, 개별 중점협력국 대상 국가협력전략을 수립하여 체계적·전략적 ODA를 추진해오고 있습니다. 제1기 중점협력국은 2011년부터 2015년까지로, 총 26개국으로 운영되었습니다. 2016년부터 2020년까지는 총 24개국으로 구성된 제2기 중점협력국 제도가 운영되었습니다. 2020년 제2기 중점협력국이 종료됨에 따라, 우리 정부는 2021년 1월 총 27개국의 제3기 중점협력국을 선정하였습니다. 관계부처 및 전문가의 의견수렴을 토대로, 수원국의 발전수준, 경제·외교적 협력 실적, ODA 수행환경 및 경제·외교·통상 등 다양한 분야 협력잠재력을 평가하였습니다. 또한 우리의 대외정책과 적극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과 동시에, 수원국의 소득수준, 지역별 분포, 취약국 여부 등도 추가로 고려하였습니다. 27개국의 목록은 아래 지도 및 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 | CPS | |
---|---|---|
아시아 (12개국) | 방글라데시 | 방글라데시 국가협력전략 |
캄보디아 | 캄보디아 국가협력전략 | |
인도네시아 | 인도네시아 국가협력전략 | |
라오스 | 라오스 국가협력전략 | |
몽골 | 몽골 국가협력전략 | |
미얀마 | 미얀마 국가협력전략 | |
네팔 | 네팔 국가협력전략 | |
파키스탄 | 파키스탄 국가협력전략 | |
필리핀 | 필리핀 국가협력전략 | |
스리랑카 | 스리랑카 국가협력전략 | |
베트남 | 베트남 국가협력전략 | |
인도 | 인도 국가협력전략 | |
아프리카 (7개국) | 에티오피아 | 에티오피아 국가협력전략 |
가나 | 가나 국가협력전략 | |
이집트 | 이집트 국가협력전략 | |
르완다 | 르완다 국가협력전략 | |
세네갈 | 세네갈 국가협력전략 | |
탄자니아 | 탄자니아 국가협력전략 | |
우간다 | 우간다 국가협력전략 | |
중동 CIS (4개국) | 키르기스스탄 | 키르기스스탄 국가협력전략 |
우즈베키스탄 | 우즈베키스탄 국가협력전략 | |
우크라이나 | 우크라이나 국가협력전략 | |
타지키스탄 | 타지키스탄 국가협력전략 | |
중남미 (4개국) | 볼리비아 | 볼리비아 국가협력전략 |
콜롬비아 | 콜롬비아 국가협력전략 | |
파라과이 | 파라과이 국가협력전략 | |
페루 | 페루 국가협력전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