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공식정부 누리집 이미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유튜브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페이스북

ODA 자료실

ODA 자료실

국제개발협력 개요

  • 국제개발협력과 ODA
  • 국제개발협력의 주체
  • 공여국별
  • 국제기구

공여국별

    • 공여국별

    • 국제기구

    OECD DAC 회원국

    OECD에 속해 있는 개발원조위원회(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DAC)는 공적개발원조 공여국들의 대표적인 협의체로서 30개 회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DAC회원국들은 매년 ODA 실적을 DAC에 보고하여 회원국 전체의 ODA 실적을 집계하고 있습니다. 또한 ODA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ODA의 양적확대와 질적제고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미국미국

    영국영국

    일본일본

    한국독일

    프랑스프랑스

    스웨덴스웨덴

    호주호주

    미국미국

    영국영국

    일본일본

    한국독일

    프랑스프랑스

    스웨덴스웨덴

    호주호주

    출처 : OECD 공여국 프로파일

    • 한국

      한국

      Republic Of Korea

      ODA 지원 규모
      ’21년 협력대상국 및 국제기구에 총 37억불 지원 (ODA/GNI 비중 0.16%)
      ODA 재원배분 : 양자 25억불(61%) + 다자 12억불(39%, 순수다자 22.3% + 다자성양자 16.7%) *對우크라이나 지원 1.5백만불 / 코로나19 대응 지원 5.8억불

      ODA 지원 규모

      양자협력
      ㅇ ’21년 총 25억불 수준, 전년 대비 20.5% 증가 *국별 프로그램(81%) > 기타(9%) > 인도적 지원(7%) > 행정(4%) 順
      양자협력은 공공기관(75%) 및 국제기구(21%)를 통해 주로 집행되나 시민사회(2%)를 통해서도 집행되며, 지역별로는 아시아(45%)와 아프리카(24%)에 집중 *상위 지원국 : 방글라데시 > 필리핀 > 콜롬비아 > 캄보디아 > 베트남 등
      다자협력
      '21년 총 12불 수준(순수다자 7억불 + 다자성양자 5억불)으로 전년 대비 33.6% 증가 *다자협력은 주로 유엔 시스템과 세계은행을 활용하고 있으며, 유엔 기구 중에서는 WFP, UNDP, UNICEF 등 개도국 현장에서 활동하는 기구들에 대한 지원 비중이 높음
      지역별 지원분포

      지역별 지원분포

      공여국(기관) 상세 정보 바로가기
    • 미국

      미국

      United States of America

      미국은 세계 최대 공여국으로 세계 보건 및 안보, 기후 위기 대응, 민주주의와 굿거버넌스 촉진, 차별과 불평등 해결에 우선순위를 두고 개발협력을 실시

      ODA 지원 규모
      ’23년 협력대상국 및 국제기구에 총 660억불 지원 (잠정, ODA/GNI 비중 0.24%)
      ’22년 ODA 재원 배분 : 양자 528억불(86.3%, 다자성양자 35% 포함) + 다자 84억불(13.7%)
      *’23년 對우크라이나 지원 119억불(잠정)
      ODA 지원 규모
      양자협력
      ’22년 총 528억불 수준, 전년 대비 26.6% 증가 *국별 프로그램(39.5%) > 인도적 지원(24.8%) > 공여국 내 난민 지원(14.7%) > 행정(6.7%) 順
      양자협력은 공공기관(32.5%) 및 국제기구(35.3%)를 통해 주로 집행되나 시민사회(16.9%)를 통한 예산 집행도 상당한 수준이며, 지역별로는 주로 아프리카(132억불)에 집중 *상위 지원국 : 우크라이나 > 에티오피아 > 아프가니스탄 > 예멘 > 남수단 등
      다자협력
      ’22년 총 270억불 수준(순수다자 84억불 + 다자성양자 186억불)으로 전년 대비 36% 증가
      *다자협력은 주로 세계은행과 UN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으며, 유엔 기구 중에서는 WFP, UNHCR, UNICEF 등 개도국 현장에서 활동하는 기구들에 대한 지원 비중이 높음
      지역별 지원분포
      공여국(기관) 상세 정보 바로가기
    • 영국

      영국

      United Kingdom

      영국은 외교개발부(Foreign, Commonwealth and Development Office, FCDO)에서 4개의 영역(①지속가능 성장, ②여성과 소녀, ③인도적 지원, ④기후변화 및 글로벌 보건이슈 대응)에 우선순위를 두고 개발협력을 실시

      ODA 지원 규모
      ’23년 협력대상국 및 국제기구에 총 660억불 지원 (잠정, ODA/GNI 비중 0.24%)
      ’22년 ODA 재원 배분 : 양자 528억불(86.3%, 다자성양자 35% 포함) + 다자 84억불(13.7%)
      *’23년 對우크라이나 지원 119억불(잠정)
      ODA 지원 규모
      양자협력
      ’22년 총 528억불 수준, 전년 대비 26.6% 증가 *국별 프로그램(39.5%) > 인도적 지원(24.8%) > 공여국 내 난민 지원(14.7%) > 행정(6.7%) 順
      양자협력은 공공기관(32.5%) 및 국제기구(35.3%)를 통해 주로 집행되나 시민사회(16.9%)를 통한 예산 집행도 상당한 수준이며, 지역별로는 주로 아프리카(132억불)에 집중 *상위 지원국 : 우크라이나 > 에티오피아 > 아프가니스탄 > 예멘 > 남수단 등
      다자협력
      ’22년 총 270억불 수준(순수다자 84억불 + 다자성양자 186억불)으로 전년 대비 36% 증가
      *다자협력은 주로 세계은행과 UN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으며, 유엔 기구 중에서는 WFP, UNHCR, UNICEF 등 개도국 현장에서 활동하는 기구들에 대한 지원 비중이 높음
      지역별 지원분포
      지역별 지원분포
      공여국(기관) 상세 정보 바로가기
    • 일본

      일본

      Japan

      일본은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빈곤, 환경 파괴 및 경제 성장 문제에 대처하고 파트너 국가의 주인의식을 존중하며 사회 및 문화적 가치를 기반으로 하는 개발을 촉진

      ODA 지원 규모
      ’23년 협력대상국 및 국제기구에 총 196억불 지원 (ODA/GNI 비중 0.44%)
      ’22년 ODA 재원 배분 : 양자 197억불(88.2%, 다자성양자 12% 포함) + 다자 26억불(11.8%)
      * ’23년 對우크라이나 지원 8억 1,810만불(잠정)
      ODA 지원 규모
      양자협력
      ’22년 총 196억불 수준, 전년 대비 31.7% 증가 *국별 프로그램(82.5%) > 인도적 지원(3.5%) > 행정(3.2%) 順
      양자협력은 공공기관(83.5%)를 통해 주로 집행되며, 지역별로는 아시아(56.8%)에 집중 *상위 지원국 : 인도 > 방글라데시 > 필리핀 > 이라크 > 우크라이나 등
      다자협력
      ’22년 총 50억불 수준(순수다자 26억불 + 다자성양자 24억불)으로 전년 대비 2.9% 감소 *다자협력은 주로 세계은행, UN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으며, 유엔 기구 중에서는 UNDP, WFP, UNICEF에 대한 지원 비중이 높음
      지역별 지원분포
      지역별 지원분포
      공여국(기관) 상세 정보 바로가기
    • 독일

      독일

      Federal Republic of Germany

      독일은 연방경제협력개발부(Federal Ministry of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BMZ)에서 평화, 식량 안보, 지속 가능한 경제, 기후 및 에너지, 환경 보호, 보건 및 사회에 우선순위를 두고 개발협력을 실시

      ODA 지원 규모
      ’23년 협력대상국 및 국제기구에 총 367억불 지원 (ODA/GNI 비중 0.79%)
      ’22년 ODA 재원 배분 : 양자 329억불(81.8%, 다자성양자 25.6% 포함) + 다자 73억불(18.2%)
      ODA 지원 규모
      양자협력
      ’22년 총 329억불 수준, 전년 대비 26.8% 증가 *국별 프로그램(37.5%) > 공여국 내 난민 지원(14.6%) > 인도적 지원(11.7%) > NGO 지원(6.9%) 順
      양자협력은 공공기관(52.3%) 및 국제기구(31.3%)를 통해 주로 집행되며, 지역별로는 아프리카(18.1%)와 아시아(14%)에 집중 *상위 지원국 : 우크라이나 > 인도네시아 > 중국 > 인도 > 시리아 등
      다자협력
      ’22년 총 176억불 수준(순수다자 73억불 + 다자성양자 103억불)으로 전년 대비 21.5% 증가 *다자협력은 주로 EU 기관, UN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으며, 유엔 기구 중에서는 WFP, UNICEF, UNDP에 대한 지원 비중이 높음
      지역별 지원분포
      지역별 지원분포
      공여국(기관) 상세 정보 바로가기
    • 프랑스

      프랑스

      French Republic

      프랑스는 프랑스개발청(Agence Française de Développement, AFD)에서 환경과 기후, 성평등, 재난과 위기, 인권, 보건, 교육, 식량안보, 위생, 포용적 성장, 거버넌스에 우선순위를 두고 개발협력을 실시

      ODA 지원 규모
      ’23년 협력대상국 및 국제기구에 총 154억불 지원 (ODA/GNI 비중 0.5%)
      ’22년 ODA 재원 배분 : 양자 132억불(64.9%, 다자성양자 5% 포함) + 다자 71억불(35.1%)
      * ’23년 對우크라이나 지원 1억 1,240만불(잠정)
      ODA 지원 규모
      양자협력
      ’22년 총 132억불 수준, 전년 대비 12.3% 증가 *국별 프로그램(63.9%) > 공여국 내 난민 지원(11.6%) > 계상된 학생 지원(6%) 順
      양자협력은 대부분 공공기관(79.7%)을 통해 집행되며, 지역별로는 아프리카(41%)에 집중 *상위 지원국 : 모로코 > 코트디부아르 > 우크라이나 > 남아프리카공화국 > 이집트 등
      다자협력
      ’22년 총 78억불 수준(순수다자 71억불 + 다자성양자 7억불)으로 전년 대비 15.8% 증가 *다자협력은 주로 EU 기관, 기타 다자기구(녹색기후기금, IMF 등)들을 활용하고 있으며, 유엔 기구 중에서는 WFP, UNITAID, UNHCR에 대한 지원 비중이 높음
      지역별 지원분포
      공여국(기관) 상세 정보 바로가기
    • 스웨덴

      스웨덴

      Kingdom of Sweden

      스웨덴은 스웨덴 국제개발협력청(Swedish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gency, SIDA)에서 우크라이나, 인도적 지원, 민주주의, 기후 행동, 성평등, 무역, 이주에 중점을 두고 개발협력을 실시

      ODA 지원 규모
      ’23년 협력대상국 및 국제기구에 총 56억불 지원 (ODA/GNI 비중 0.91%)
      ’22년 ODA 재원 배분 : 양자 35억불(64.3%, 다자성양자 34% 포함) + 다자 20억불(35.7%)
      *’23년 對우크라이나 지원 2억 3,880만불(잠정)
      ODA 지원 규모
      양자협력
      ’22년 총 36억불 수준, 전년 대비 0.2% 감소 *국별 프로그램(40.9%) > 인도적 지원(17.3%) > 공여국 내 난민 지원(10.8%) > NGO 지원(6.9%) 順
      양자협력은 국제기구(34.3%) 및 시민사회(31.6%)를 통해 주로 집행되나 공공기관(26.6%)를 통한 예산 집행도 상당한 수준이며, 지역별로는 아프리카(32%)에 집중 *상위 지원국 : 우크라이나 > 아프가니스탄 > DR콩고 > 소말리아 > 에티오피아 등
      다자협력
      ’22년 총 32억불 수준(순수다자 20억불 + 다자성양자 12억불)으로 전년 대비 0.2% 증가 *다자협력은 주로 UN 시스템, EU 기관들을 활용하고 있으며, 유엔 기구 중에서는 WFP, UNICEF, UNDP에 대한 지원 비중이 높음
      지역별 지원분포
      지역별 지원분포
      공여국(기관) 상세 정보 바로가기
    • 호주

      호주

      Commonwealth of Australia

      호주는 호주국제개발청(Swedish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gency, AusAID)에서 정부가 2023년 발표할 새로운 국제 개발 정책에 따라 기후 변화 대응, 인도-태평양 지원, 성평등, 장애인 권리평등을 우선순위로 두고 개발협력을 실시

      ODA 지원 규모
      ’23년 협력대상국 및 국제기구에 총 33억불(잠정) 지원(ODA/GNI 비율 0.19%)
      ’22년 ODA 재원 배분 : 양자 26억불(85.2%, 다자성양자 28% 포함) + 다자 5억불(14.8%)
      * ’23년 對우크라이나 지원 690만불(잠정)
      ODA 지원 규모
      양자협력
      ’22년 총 26억불 수준, 전년 대비 14.4% 감소 *국별 프로그램(69.4%) > 인도적 지원(15%) > 행정 지원(7.4%) > 기타(7.9%) 順
      양자협력은 다자기구(28%) 및 기타 채널(30.9%)을 통해 주로 집행되나 공공기관(20.9%)을 통해서도 집행되며, 지역별로는 오세아니아(39.7%)와 아시아(37.8%)에 집중 * 상위 지원국: 파푸아 뉴기니 > 인도네시아 > 솔로몬 제도 > 방글라데시 > 필리핀
      다자협력
      ’22년 총 12억불 수준(순수다자 5억불 + 다자성양자 7억불)으로 전년 대비 18.3% 감소 *다자협력은 주로 UN 시스템과 세계은행을 활용하고 있으며, UN 기구 중에서는 WFP, UNDP, UNICEF 등 개도국 현장에서 활동하는 기구들에 대한 지원 비중이 높음
      지역별 지원분포
      지역별 지원분포
      공여국(기관) 상세 정보 바로가기

    신흥 공여국

    과거 개발협력은 OECD-DAC 회원국이 중심이 되었으나, 최근 신흥공여국으로 분류되는 국가들의 개발협력 관련 지원이 양적, 질적인 측면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한국

      가나

      컨텐츠 준비중
    • 미국

      미국

      United States of America

      컨텐츠 준비중

업데이트 : 2025.03.27